앵커가 직접 고른 뉴스, 앵커픽입니다. <br /> <br />1. 동아일보 <br />마스크가 일상이 돼 버린 요즘이죠? <br /> <br />사상 처음으로 닷새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내려질 정도로 오늘도 공기질이 좋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실내라고 상황이 다르진 않았는데요, 동아일보 보시죠. <br /> <br />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경우 초미세먼지 농도가 200마이크로그램을 훌쩍 넘어 기준치의 5배나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부에서 들어온 초미세먼지에 터널 등에서 날리는 초미세먼지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인데요, 지하철 승강장 뿐만 아니라 햄버거 가게, 마트도 바깥 공기보다 나을 게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렇게 미세먼지가 높다고 창문을 꼭 닫아두는 것보다는 하루 3차례, 10분씩만이라도 환기를 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조리나 청소를 할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탓에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오히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군요. <br /> <br />2. 조선일보 <br />최근 가전, 가구, 차량할 것 없이 렌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75세 이상 노인은 오히려 시장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는데요, 이유가 뭘까요? <br /> <br />바로 렌털 시장의 기이한 유통 구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회원을 모집한 뒤 통상 1년 정도 지나야 수당을 온전히 받는 중개업체들이 고객이 중간에 사망할까 봐 어르신들의 가입을 막고 있는 거죠. <br /> <br />그래서 중개업체가 아닌 본사에 신청하면 대부분 가입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상당수 소비자들이 본사를 통해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중개 업체를 거치기 때문에 이런 업계 상황을 모르는 고령층은 차별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게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3. 한국일보 <br />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듣거나 TV, 영화를 시청하는 청소년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로 인해 소음성 난청에 시달리는 청소년이 전체의 20%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소음성 난청 환자는 2012년 6,600여 명에서 2016년 1만 1,100여 명으로 5년 새 71.4%나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청소년은 5명 가운데 1명이 난청을 앓고 있다는 조사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청소년기에 소음성 난청을 앓으면 학업성취도가 떨어지고, 어른이 되면 심각한 난청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는 난청을 예방하기 위해 '60·60 법칙'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폰으로 음악을 감상할 때는 최대 음량의 60% 이하, 하루 60분 정도만 듣는 것이 좋다고 하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0510355053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